상단영역

본문영역

"처음엔 북한에 연탄 주겠다 하니..."

  • 입력 2013.12.23 12:47
  • 수정 2014.01.01 10:02
  • 기자명 오문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대문구 홍제동서 사랑의 연탄나눔 행사 열려
기사 관련 사진
‘개미마을‘에서 사랑의 연탄나눔 활동에 참가한 자원봉사자들이 기념 촬영을 했다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지난 19일(목요일) 오후 3시 30분부터 6시까지 서대문구 홍제동 ‘개미마을‘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한 자원봉사자 20여 명이 연탄배달 봉사활동을 펼쳤다. 봉사자들은 3가구에 각 200장씩 총 600장의 연탄을 전달했다. 한 가구에 2구3탄 연탄보일러를 교체한 이번 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서대문구청장, 서울시의회의원도 참가했다.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연탄나눔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원기준 목사는 강원도 태백의 선린교회 담임 목사를 맡고 있다. 2004년부터 10년째 겨울사업의 중점이 된 사랑의 연탄나눔 행사는 북한 동포를 돕자는 취지에서부터 시작됐다.
기사 관련 사진
박원순 서울시장도 연탄나눔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했다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미국에서 어제 귀국한 유학생 서동근씨가 연탄나눔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태백에서 북한 동포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하던 차에 때마침 대한석탄공사 이동섭 감사가 취임했다. 이 감사는 대한석탄공사가 사회공헌사업에 앞장서고 싶다는 취지의 뜻을 전했고 태백 지역민들도 북한의 어려운 사람을 돕자는 데 의기투합했다.

태백과 대한석탄공사가 만난 것으로 연탄이 가장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하나의 도구가 된 것이다. 지금까지 북한에 200번, 1000만 장의 연탄을 제공했다. 금강산 온정리와 개성시가 대상이 됐다.

"처음에 북한에 연탄을 주겠다고 하니까 북한에서는 무슨 뜻인지를 이해하지 못했어요. 북한에는 우리의 번개탄과 비슷한 구멍탄이라는 게 있어요. 하지만 부실할 뿐만 아니라 짧고 화력이 약해요. 반면 남쪽의 연탄은 오래 타고 화력도 좋아 반응이 좋았어요. 두 번째부터는 북한 사람들이 함박웃음을 지었고 북한 사람들과 함께 땀을 흘리며 공감을 나누는 좋은 자리였는데 천안함 사건으로 남북관계가 얼어붙어 단절됐죠."

따뜻한 한반도라는 뜻은 남한과 북한이 사랑의 연탄으로 따뜻하게 겨울을 지내자는 의미이다. 그런데 지금은 대한민국에서만 행사가 열리고 있다. 후원자가 봉사자가 되고 봉사자가 후원자가 되어 후원자가 5만 명에 달하는 활발한 사업지만 IMF 이후 지원자가 감소했다.

자원봉사자 중에는 어제 미국에서 도착한 유학생인 서동근 학생이 있다. 미국 애모리대학(3년)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는 그는 귀국 전에 검색을 통해 의미 있는 일은 없는가를 검색하다 곧바로 참여했다. 그는 "힘들지만 독거노인들의 손발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따뜻해지는 일"이란다.
기사 관련 사진
원기준 목사(오른쪽)와 연탄을 배달하고 땀을 뻘뻘 흘리는 자원봉사자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사랑의 연탄나눔 활동에 참가한 자원봉사자들이 연탄 모형이 새겨진 인형을 받아들고 행복해 하고 있다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기계공학을 전공한 후 건설회사에서 정년퇴임한 남기영씨는 보일러 시공을 도와준다. 모임에 참여한 지4년 동안 300가구에 보일러를 설치해줬다.

"어느 날 보일러를 설치해줬더니 90이 넘은 할머니가 주머니 속에서 비닐로 열 번이나 싸 꼬깃꼬깃해진 돈을 후원금이라고 내며 ‘내 자식보다 낫네!‘하며 울먹였어요. 괜찮다고 사양해도 막무가내로 손에 쥐어줘 식당에 돌아와 펴보니 10만 원이 들어있었어요. 돌아가 너무 많다고 되돌려 주려하자 한사코 사양해서 받아 후원금으로 사용했지만, 보람있었습니다."
기사 관련 사진
‘개미마을‘은 벽화로 유명하다
ⓒ 오문수관련사진보기
 

이날 멀리 전남 곡성에서 아빠와 함께 봉사활동에 참석한 이재혁(중2)군은 봉사활동의 의미를 묻자 "뿌듯하다"고 말했다. 봉사활동에 참석하기 위해 친구 세 명과 함께 회사에 휴가를 내고 도착한 젊은이들은 한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땀을 뻘뻘 흘리며 "보람 있었어요"라고 말했다.

원기준 목사의 장래 목표는 우리나라가 연탄을 때지 않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분들은 에너지 취약계층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이 사업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