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후두두둑 후두두둑... 새우가 익어가는 소리

[여수 맛집] 왕새우 소금구이와 조개구이

  • 입력 2015.10.14 13:58
  • 수정 2017.03.08 04:08
  • 기자명 여수넷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사 관련 사진
▲  왕새우 소금구이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뭐 먹으면 좋을까?"

언제부터인가 지인들은 제게 자신들의 고민을 떠넘겼습니다. 부담과 실패 없이 맛있는 걸 먹고 싶다는 의지였습니다. 근데 이번에는 더 고민되더군요. 부산서 오는 지인이 "처가 행사에서 음식 선택 잘못으로 원성을 많이 샀다"는 이야기를 익히 들은 터라 더욱 심사숙고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주말, 세 가지 이유에서 메뉴와 음식점을 자신 있게 골랐습니다. 첫째, 접대 경험상 부부 동반 시 음식 선택은 아내 입맛에 맞추면 대부분 성공입니다. 보통 남편들은 아내가 좋다 하면 따라가기 마련이니까. 이건 아내에 대한 남편의 매너입니다. 자칫 남편 입맛에 맞췄다 아내가 불만이면 안 하느니만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둘째, 여자들은 날씬하든 안 하든 간에 몸매와 미용이 음식 선택의 고려 대상 중 하나입니다. 맛있는 건 일단 "먹고 운동하면 된다"는 주의이나 현실에선 그렇지 못합니다. 맛있으면서도 콜레스테롤 없어 몸매 관리에 부담이 적은 음식을 선택하면 좋아합니다. 예쁘고 날씬하고 싶은 게 여자의 본능이니까.

셋째, 중년 부부에겐 성적인 면도 고려 대상입니다. 아내들은 피로에 힘이 떨어진 남편의 기운과 정력을 되살려 줄 보양음식을 선호합니다. 하여, 대부분의 중년 아내들은 남편의 정력 증강을 돕는 전복, 장어, 피조개, 붕어찜 등의 요리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아름다운 밤을 찾고 싶은 욕구지요.

"왕새우 소금구이와 조개구이 어때요?" 반응은?
 

기사 관련 사진
▲  키조개, 피조개 등 조개구이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조개구이를 추가로 시켰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왕새우 소금구이와 조개구이 어때요?"

지인과 아내, 모두 군소리 없이 "좋다"더군요. 여기에 부산서 온 지인 부부까지 환영하대요. 이렇게 찾은 곳이 여수 무선의 '조개마을'이었습니다. 두 말할 것 없이 조개구이와 왕새우 소금구이를 시켰습니다. 먼저 밑반찬과 홍합국, 치즈 얹은 옥수수가 나왔습니다. 홍합국을 한 숟갈 떴습니다. 시원하고 칼칼한 맛이 술을 불렀습니다.

조개구이는 피조개, 가리비, 키조개 등 조개류와 전복에 새우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테이블이 좁은 관계로 왕새우 소금구이는 옆 테이블에서 조리해주기로 했습니다. 불판에 조개가 올려지고, 지글지글 익어갔지요. 입으로 먹기 전, 눈으로 먹는 맛도 좋았습니다. 냄새가 솔솔 코를 괴롭혔습니다. 눈에 이어 코로 먹는 맛도 일품이었습니다.

옆 테이블에 소금 넣은 냄비가 장착되었습니다. 그리고 살아 있는 새우가 부어지자마자, 잽싸게 뚜껑이 닫혔습니다. 후두두둑, 후두두둑. 비 내리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 소리는 뜨거운 소금을 피하려는 새우의 몸부림이었습니다. 인간의 잔인함을 탓하기 전에, 음식이 주는 즐거움을 생각기로 했습니다.

지인이 처음 익은 조개를 아내에게 권한 까닭
 

기사 관련 사진
▲  전복에 새우까지 있는 조개구이와 시원한 홍합국.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음식의 탁월한 선택 앞에 지인 부부는 함박웃음이었습니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건 또 다른 '행복'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당신 맛있게 먹게."

조개구이가 익자 지인은 처음 익은 조개를 집어 아내에게 권했습니다. 그것은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아내를 위한 '배려'였습니다. 그의 몸에 배인 이 배려는 아내에 대한 '깊은 사랑'이었습니다. 부부는 나이 들면서 상대방을 위한 배려가 더욱 중요하다는데, 귀감이었습니다. 따라 해보니 뻘줌하고 쑥스럽더군요. 오랜만에 보는 사이라 많은 이야기가 오갑니다.

"올 단풍 여행은 어디로 갈까?"
"작년에 전북 순창 강천사로 갔으니 올해는 경북 청도 운문사가 어떨지? 단풍과 어우러진 비구니들의 새벽 예불소리가 좋지요."
"그럴까. 따로 따로 출발해 운문사에서 모이면 되겠네."

사람 좋고, 음식까지 따르니 일사천리. 올해 단풍여행은 운문사로 잡혔습니다. 운문사는 아내가 결혼 전, 결혼 전제조건으로 "간혹 함께 여행할 곳" 중 하나로 꼽은 여행집니다. 이유는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강조했던 "비구니들의 새벽 독경과 새벽 예불소리"를 부부가 함께 보고 듣고 느끼기 위함이었습니다.

"제 삶에서 가장 빛나는 신의 한 수가 뭔지 아세요?"
"글쎄, 신의 한 수가 뭘까?"
"제 아내랑 만나 결혼 한 거!"

웃음이 터졌습니다. 하여튼 안주 감으로 나온 조개는 부부 금슬을 더욱 좋게 만들었습니다. 왕새우가 익어가자 머리와 몸통으로 잘랐습니다. 다 익은 몸통은 먹고, 머리는 좀 더 바싹하게 구워야 맛있다는 겁니다.

왕새우, 껍질 채 씹어 먹어야 제 맛? 자기 취향 껏
 

기사 관련 사진
▲  왕새우 소금구이. 새우가 요란합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새우는 껍질 채 먹어야 제 맛입니다. 하지만 취향껏 먹는 게 정답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새우가 왔습니다. 새우는 껍질 채 씹어 먹어야 제 맛. 그런데 여인들은 답답하게 껍질을 벗겨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먹는 게 옳고, 그른지는 없습니다. 취향껏 맛있게 먹으면 그만. 새우는 나이 들면 엄청 '는다'는 남자의 간섭과 잔소리마저 줄게 했습니다. 왜냐? 먹느라 간섭할 시간이 없었기에.

드디어 바싹 구운 새우 머리가 대령했습니다. 손으로 머리를 들어, 초장을 찍어, 입에 넣고 와작와작 씹었습니다. 바싹바싹 씹히는 소리가 압권이었습니다. 얼마나 맛나게 먹었는지, 어느 새 안주거리가 바닥났습니다. 날로 먹어도 좋은 피조개 위주로 조개를 추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물 칼국수 먹어야죠?"

긴가민가하면서도 동의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삼겹살을 엄청 먹어 배불러도 후식으로 밥, 누룽지, 냉면 등을 먹어야 직성이 풀린다는 것과 같은 동의였습니다. 다만, 양을 줄여 2인분만 시켰습니다. 해물칼국수는 입안에 남은 비릿한 맛을 잡아주었습니다. 밖으로 나오자 칭찬이 이어졌습니다.

"오늘 음식 선택은 신의 한 수다!"
 

/ 임현철 시민기자

기사 관련 사진
▲  시원하고 칼칼한 해물칼국수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조개구이 한상차림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