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희 "여수산단 환경문제 도와 정부가 나서라"

강 의원 "불법배출 기업, 거버넌스 권고안 수용 거부... 지역사회 비난 거세" "위반 기업들이 수용 거부한 용역, 전남도가 대신 추진 및 구상권 행사해야"

2021-04-06     전시은
▲강정희 전남도의원

6일 전남도의회 강정희 보건복지환경위원장(더민주, 여수6)이 민·관협력 거버넌스 권고안을 거부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치 조작 기업에 전남도와 정부가 나서서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추진하고 그 비용을 위반기업에 구상할 것을 촉구했다.

강 위원장은 “사건 발생 후 관련 기업은 여수시민과 도민, 국민들 앞에서 사과하고 재발방지와 지역주민과의 신뢰회복을 약속했지만, 지금은 말 밖에 남지 않았다.”며 “2015년부터 4년 동안 1급 발암물질 배출량까지 축소 조작하던 기업들이 본인들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행태는 지난 2년 동안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의 대기오염물질 측정기록 조작이 4년 동안이나 가능했던 것은 전남도와 정부의 부실한 관리‧감독이 주요 원인 중에 하나”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의 환경자치권이 강화되어야 하는데, 정부의 정책은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관협력 거버넌스 위원회는 지난 2019년 5월 첫 회의를 시작으로 올해 2월까지 22차례의 회의를 거쳐 여수산단 주변 환경오염 실태조사, 산단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환경감시센터 설치·운영, 유해대기물질 측정망 설치 등 9개항의 권고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위반기업들은 민‧관협력 거버넌스 권고안 가운데 환경오염실태조사와 주민건강영향조사는 전문가 검토가 부족하고, 산단 기업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거부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에, 여수지역 48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여수산단유해물질불법배출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여수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까지 거버넌스 회의참석과 의견 개진권은 보장됐으며 22차까지 모든 회의의 결과는 실시간으로 공유돼 왔다”고 반박했다.

전남도의회 역시 지난달 16일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권한 이양 촉구 건의안(대표발의 강정희 의원)’을 본회의에서 채택하고, 환경오염시설 통합허가 이후 관리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현재 환경부는 2017년부터 ‘통합환경관리제도’를 시행하여 대기, 물, 토양, 폐기물 등 오염 매체별로 개별적으로 이뤄지던 환경오염시설 인ㆍ허가를 사업장 단위로 종합 관리하고 있다. 그러면서 전남도가 관리하던 대기‧수질 1‧2종 227개 사업장 중 금호석유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엘지화학 등 114개 사업장의 관리 권한이 환경부로 이관되었거나 2024년까지 이관될 예정이다.

강정희 위원장은 “전남도와 정부는 무려 4년 동안 기업의 불법행위와 지역주민의 피해를 방치해 왔고, 이제는 거버넌스에 기대어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여수산단 대기측정기록 조작사건이 재판과정에서 대부분 유죄로 판결되고 있는 만큼, 전남도와 정부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영향 조사를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그 비용을 오염원인자인 위반기업에 구상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기업이 불법으로 포탈한 수억 원 대의 배출부과금이 제대로 징수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