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포미군폭격사건 추모식' 추진위원회 모여

'피난민의 억울한 죽음' 이야포 미군폭격사건 22일 추진위원장으로 엄길수 여수넷통 전 대표 선출

2021-06-22     전시은
▲이야포미군폭격사건 71주년 추모위원회가 추모식 진행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오는 8월 3일 이야포 피난선 미군폭격사건 71주년 추모식을 앞두고 22일 추모위원회 위원들이 모여 행사 진행 상황을 논의했다.

여수넷통뉴스와 여수뉴스타임즈는 매년 안도 이야포 앞바다에서 피난선 침몰로 사망한 피해자들을 기리고 있다.

지난 1950년 여수 남면 이야포 앞바다에서 미군 폭격으로 피난선이 침몰하며 여수로 피난 오던 많은 사람들이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지역에서 벌어진 안타까운 사건이지만 외지인이 피해자라는 이유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미군 폭격 사망자 중에 당시 고기잡이를 나선 지역민도 포함된 사실이 밝혀지며 새로운 문제로 떠올랐다.

이날 추진위원장으로 선출된 엄길수 여수넷통 전 이사장은 “이야포 미군 폭격으로 사망한 피해자들 모두 우리 민족이지만 국가가 외면하고 있다”며 “피해자들의 이름을 기입하지 않은 백비라도 세우면 훗날 후손들이 이를 기억하고 새로운 연구를 시행할 수 있다”며 위령비 설치를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면서 위령탑 옆에 이야포를 주제로 지역 작가들이 쓴 시를 푯말에 기입해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이야포 미군폭격사건은 1950년 미군에 의해 피난민이 사살된 사건이지만 소파 협정(SOFA) 때문에 미군이 일으킨 범죄를 한국이 직접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당시 피난민들은 ‘흰 옷 입은 사람은 적‘이라는 논리 아래 죽음을 맞아야 했다. 엄길수 전 이사장은 “이번 추모식은 지역 신문사가 나서서 사건을 공론화시키고 역사의 정의를 세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미 여수시의원이 이야포 미군폭격사건 전말을 설명하고 있다

여수 남면이 지역구인 박성미 시의원은 매년 추모식에 참석하고 있다. 박성미 시의원은 추모위원회 위원으로 올해 추모식도 함께 한다.

박 의원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 판사 기록이 남아있어 이야포 미군폭격사건 피해자인 이춘혁 어르신의 피해사실을 국가도 인정하고 있지만, 현재 공소시효가 만료되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박 의원은 “이야포 남면에는 이춘혁 어르신 외에도 침묵하는 피해자들이 계실 것이다. 지역에서 나서서 이분들을 찾아 진화위 2기에 직접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남면 안도 주민들은 아직도 봉분도 없이 땅에 묻힌 미군폭격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있다”며 “작더라도 위령비 하나 세우는 것이 소원이라는 이들의 말을 기억해달라”고 덧붙였다.

여수넷통뉴스와 여수뉴스타임즈는 오는 8월 3일 남면 안도 이야포를 방문해 희생자를 추모할 예정이다.

‘여수시 한국전쟁 중 남면 이야포ㆍ두룩여 해상 미군폭격사건 민간인희생자위령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여수시의회에서 통과된만큼 여수시의 추모식 참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중앙 정부는 2010년 12월 1기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산하고 10년이 지난 지난해 12월 ‘진실화해위원회 2기’를 출범시켰다. 그러나 2기 진화위는 이야포 미군폭격사건이 국가가 관련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공소시효를 이유로 보상을 주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