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산업체, 2050탄소중립 방향 모색

기업체와 학계, 공무원, 시민단체 모여 탄소감축 방안 논의 지역 중소기업연구개발 지원, 대기업 특허기술 무상양도, 그린전문인력 육성 등을 실행할 여수산단산업진흥원 설립 제안

2021-12-09     전시은
▲8일 히든베이호텔서 열린 토론회 참여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여수산단 산업체의 2050탄소중립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는 토론회가 8일 히든베이호텔에서 열렸다.

최근 정부가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설정하자 기업체와 학계, 공무원, 시민단체가 모여 탄소감축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토론회는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 여수시여수산단공동발전협의회, 여수YMCA 관계자가 참여했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2017년 여수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5,054만톤(이산화탄소 기준)으로, 지난 2007년 3,140만톤 대비 약 62%가 증가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중앙대학교 김정인 교수는 “정유.석유화학은 당장의 현재 고용영향은 없지만, 탄소기반의 연료,원료를 친환경전환에 주력하고, 자원순환정책과 CCUS(탄소포집활용저장)로 바꿔 탈탄소기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탈탄소정책을 위해 여수시는 기후에너지산업 전담부서개편, 핵심연구개발지원을 강화하고 여수녹색창업은행 등 지역 중소기업연구개발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대기업의 디지털특허기술을 중소기업 등에게 무상양도하는 친환경 기술나눔 확산과 여수산단의 그린뉴딜 특구지정, 체계적인 바이오연료와 수소등 신재생에너지 그린전문인력의 육성과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여수산단산업진흥원’ 설립 등을 제안했다.

▲토론회 참여자. 왼쪽부터 사단법인 전남생태산업개발센터 김진영 박사, 중앙대학교 김정인 교수, 황민진 전남대교수,LG화학 정동훈 환경팀장, 문영수 연구교수.

두 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한국에너지공단 임석기 팀장은 “여수산단은 친환경원료인 바이오납사를 활용해야 하고 자원순환을 통한 폐플라스틱의 원료 활용 확대정책, 2050년까지 전기가열로 도입 등을 통해 73%를 감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여수산단 기업들은 ESG경영강화, RE100참여 등과감한 저탄소투자와 정부지원정책을 통한 탄소감축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황민진 전남대교수가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에서 전남대 문영수 연구교수는 “여수시 전체 탄소배출량중 여수산단은 직접배출량의 93.7%, 간접배출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영수 연구교수는 “산업영역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이행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저감 4대목표인 설비와 촉매를 통한 공정개선, 수소나 바이오납사 연료 대체, 에너지원의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등은 기술과 상용화를 수반하기에 여수시2050탄소중립을 위해 기업체의 노력과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발표하였다.

두 번째 지정토론자로 나선 LG화학 정동훈 환경팀장은 “LG화학은 업계 최초로 2050탄소중립 선언으로 RE100과 바이오매스발전소전환, NCC공정의 전기분해로 및 수소연료전환등을 통한 탄소배출저감기술, 플라스틱제품의 리싸이클링 생태계구축, 바이오플라스틱등 3가지 탄소감축방향을 정하였지만,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지원대책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토론회 청취자 모습

사)전남생태산업개발센터 김진영 박사는 "기업이 버리는 에너지원을 재활용하는 가칭 '여수석유산단 자원재활용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박사는 “산업체의 탄소감축은 정부정책이 우선되고 기업이 뒤따르는 형국인데 기업과 같이 산업 탄소감축정책을 강구해야 하며, 에너지원으로 할 수 있는 태워서 버리거나 타지역으로 버리는 부생가스나 폐열, 폐플라스틱, 수산분야 폐기물, 태양광폐모듈등 또한 여수산단의 낭비되는 중.저열원을 지역사회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배관망과 전환설비를 국가나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제안사항은 정부와 여수시에 정책제안으로 제시될 예정이다.

김은식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여수산단의 폐열원을 지역사회나 기업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후속 토론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 향후 정부가 산업체 탄소저감에서 제외하고 있는 여수산단의 폐열원을 지역사회나 기업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후속 토론으로 진행하여 여수산단이 정유,석유화학 산업계로서 다양한 탄소저감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