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은 왜? 1950년 8월 3일 안도 이야포의 비극
[이야포 특별기고] ➆미군의 폭격, 오폭 규정짓기도 하지만 확인된 사실 없어 진상 규명과 피해자 확인... 역사적 진실 살펴야 할 많은 이야기 남아
일제강점기 36년을 벗어난 광복의 기쁨은 좌우익이라는 정치적 이념논쟁의 소용돌이를 헤어나오지 못하고 커다란 희생으로 이어졌다. 남해안의 조그만 섬 안도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제주 4.3 진압을 위한 출동 명령을 거부한 14연대 군인들의 봉기로 봉기와 전혀 관련이 없던 안도까지 진압 작전을 펼쳤던 진압군 5연대 대대장 김종원의 만행에 1948년 11월 1일 11명의 안도 청년들이 희생되었다.
여순사건 겪고 난 후, 지역 민심 극도로 흉흉해져
당시 남면 진압 작전에는 해방이 되자 친일행위로 얻은 어장을 잃은 남면 출신 친일인사가 개입하여 더 많은 희생이 있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여순사건을 겪고 난 후 지역 민심은 극도로 흉흉해져 모두가 숨죽이며 살아가는 시절이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또 한 번의 학살이 이어졌다. 여순사건과 관련하여 조금이라도 관계가 있는 사람은 가입하면 용서를 해준다는 이야기에 여순사건의 아픔을 겪은 지역민 중에는 ‘보도연맹’에 가입한 사람들이 많았다.
사실 여순사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지만, 해방 후 좌익정당에 가입한 경력이나 청년단 활동 등도 문제가 되었다. 합법적인 정당 활동이었지만 좌익정당의 기준도 권력자들이 마음먹은 대로 정하는 거라 어디에도 항의나 부당성을 주장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
보도연맹원, 한국전쟁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는 적으로 간주
이렇게 가입한 보도연맹원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는 이들을 잠재적인 적으로 간주하였다. 전국에 걸쳐 각 지역 경찰서나 지서로 모이게 한 뒤 학살을 감행하였다. 남면의 경우는 남면 지서의 경찰들이 연도와 안도의 ‘싱갱이도’, ‘안도와 초삼섬 사이 해상’ 에서 보도연맹원 학살을 감행했다. 삼산면에서는 삼부도의 작은섬 검등여에서 여수시에서는 남해의 애기섬에서 총살 후 수장했다.
보도연맹원의 학살이 일어난 지 일주일이 채 지나기 전 안도에는 인민군이 밀어닥쳤다. 1950년 7월 20일 경이었다. 당시 안도에는 영암군과 함평군의 경찰이 안전지역이라 여기고 안도로 피난을 와 있었는데 인민군이 들어온다는 소식에 ‘상산’으로 피신한 상태였다. 안도에 1차로 들어온 인민군은 남고지 부근에 천막을 치고 하루를 머물고 금오도로 돌아갔는데, 인민군 여성 2명이 안도에 남아있다 주민의 신고로 영암 경찰에 붙잡히게 되었다.
여군들은 총살 후 시신이 안도마을 리사무소 부근에서 난도질 되었는데 주민들은 이 끔찍한 광경을 지켜봐야만 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인민군들이 다시 돌아와 신고한 주민을 똑같은 방법으로 보복살상 하였다. 처참한 상황을 두 번이나 지켜본 주민들은 한동안 트라우마에 시달렸다.
이야포, 미군기에 의한 기총사격으로 150여 명 피난민 숨져
이야포에 피난민선이 도착한 것은 1950년 8월 2일 저녁이다. 부산에서 출발하여 통영과 욕지도를 거쳐 안도까지 오게 되었다. 당시를 알리는 여러 기사에 정부에서 소개 명령을 받았다고 하지만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다. 당시 여수 안도는 인민군 점령지로 정부가 소개 명령을 내릴 지역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는 미 해군 함재기의 기록을 조사하였는데 당시 포항 앞바다에 있었던 항공모함 밸리 포즈의 항해일지에서 7월 말에서 8월 초 기간에 서남해안을 정찰하고 공격한 기록을 확인하고 있다. 당시의 상황은 1950년 8월 9일자 마산일보 기사에서는 밸리 포즈의 함재기(F-9 Panther)기가 서남해안을 포격한 사실도 확인이 된다. 당시 인민군의 공세는 낙동강을 경계로 제주와 대구 부산을 제외한 전 국토가 장악되었던 시절이다.
1950년 8월 3일 여수시 남면 안도 이야포 해안에서는 미군기에 의한 기총사격으로 150여 명의 피난민이 숨졌다. 미군의 폭격을 오폭이라고 이미 규정짓기도 하지만 확인된 사실은 없다.
피난민 수송선에 왜 포격을 가했는지, 생존 유족들은 얼마나 살아 남았는지, 안도 이야포 사건에는 아직 진상을 정확히 규명하고 피해자를 확인하여 역사적 진실을 살펴야 할 많은 이야기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