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재도약 위한 ‘시민합의안’ 도출… 정치인·기업·정부 설득 본격화

시민감동포럼, 전문가·시민사회·노동계·지역단체와 8차례 토론 결과를 토대로 마련한 합의안 대외 전략안으로 채택, 공식확정

2025-09-19     조찬현
▲ 9월 시민감동포럼, “시민 합의 여수산단 뉴딜 사업”에 대해 이광기 POC 대표가 발표를 하고 있다. ⓒ조찬현

여수 국가산단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위한 ‘시민 합의안’이 공식 확정됐다.

시민감동포럼(대표 한창진)은 17일 토론회를 열고, 8차례 이어진 전문가·시민사회·노동계·지역단체 논의 결과를 토대로 마련한 합의안을 대외 전략안으로 채택했다. 이번 합의안은 앞으로 정치권과 지자체, 여수산단, 정부 등에 제시될 예정이다.

여수산단 "에틸렌 경쟁력 상실과 구조조정 압박으로 심각한 위기”
뉴딜 사업 추진, "중소기업에 일감... 일자리와 산단 생태계 지켜야"

▲ 여수산단 공용 인프라 뉴딜 사업 추진을 통한 경쟁력 회복 방안. ⓒ조찬현

발제에 나선 이광기 POC 대표는 “여수산단은 에틸렌 경쟁력 상실과 구조조정 압박으로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며 “공용 인프라를 활용한 뉴딜 사업을 추진해 중소기업에 일감을 제공하고, 일자리와 산단 생태계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적·물적·AI·그린 등 4대 뉴딜 사업을 구상으로 내놓으며, 숙련 인력 유지·노후 인프라 개보수·통합 관제 시스템 구축·친환경 전환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거제 조선업처럼 준비 없는 구조조정은 지역 붕괴로 이어진다”며 “국가가 여수산단을 위해 책임 있는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특별법에 여수산단 지원 조항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또 △지자체·정치권·대기업·정부의 순차 면담 △시민 여론 확산 및 언론 홍보 △단기·중기·장기 마스터 플랜 수립 등이 실행 전략으로 제시됐다.

▲ 여수산단 연혁 및 생산규모. ⓒ조찬현

또한, 정치 일정에 흔들리지 않도록 국가 의제로 신속 상정하는 ‘패스트 트랙’ 추진도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여수산단은 대기업만의 자산이 아니라 여수 시민 모두의 것”이라며, 신규 진입 기업 역시 ‘여수 시민증’을 가진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시민사회가 주도하고 정치·행정·기업을 견인·압박·협력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에도 뜻을 모았다.

한창진 대표는 “이번 합의안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정부·지자체·기업·시민이 함께 실행 가능한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감동포럼은 이번 합의안을 토대로 빠른 시일 내 정치권과 정부를 상대로 본격적인 설득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