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회 이광일 부의장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어촌계장 활동비 현실화 해법 모색… 도 차원의 선제 시행 목소리
전라남도의회 이광일 부의장은 “도민의 목소리가 곧 정책의 방향이어야 한다”며 어촌계장 활동비 지급 현실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지난 16일(목) 열린 '수산업협동조합법 개정 촉구! 어촌계장 활동비 지급 현실화 및 어업인 고충 청취 간담회'에는 이광일 부의장을 비롯해 여수시의회 박성미·이미경·정신출 의원, 전라남도청·여수시청 관계 공무원, 황보원 여수시 어촌계장협의회 회장, 그리고 30여 명의 어촌계장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어촌 현장의 어려움을 공유하고 제도 개선 방향을 함께 논의했다.
이 부의장은 “농어민수당을 처음 만들 때처럼 어촌계장 활동비도 도의회가 중심이 되어 제도화를 추진하겠다”며 “수협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위해 중앙정부와 협력하고, 도 차원에서도 실질적인 실행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성미 의원은 “오늘 현장에서 제시된 어민들의 의견이 중앙정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의회가 적극 나서겠다”며 “행정과 정치가 현장을 외면하지 않고 어민과 함께 제도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경 의원은 “어촌계장 활동비는 단순한 수당이 아니라 어촌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 기반”이라며 “기후위기로 심화되는 어업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재해보험 체계 개선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신출 의원은 “어촌계장은 행정·민원·주민조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정당한 보상이 부족하다”며, “이번 논의가 실제 제도 개선과 입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국동항 개발과 경도대교 건설에 따른 주차난 및 지역 불편, 외지 어선 부잔교 정박 문제, 맨손어업인 직불금 확대, 도서 지역 어촌계장 활동비 현실화 등 다양한 현안이 제기됐다.
김병석 와온 어촌계장은 “전국 어촌계의 41.7%가 전남에 집중돼 있다”며 “전남도만 놓고 보면 연 34억 원이면 충분한 만큼, 도 차원의 선제 시행이 현실적 해법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어촌계장들은 간담회 후 활동비 지급 현실화를 위한 서명부를 작성해 지방의회에 전달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광일 부의장은 “현장에서 답을 찾는 의정이 곧 진심의 정치”라며 “어촌계장님들의 헌신이 정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