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여수박람회 선투자금 회수압박저지 시민궐기대회 열려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입구..."일시상환 압박해 지역 멸시"

  • 입력 2024.08.08 17:59
  • 기자명 전시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1개 단체 300여명의 지역사회단체들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입구에서 대규모 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 21개 단체 300여명의 지역사회단체들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입구에서 대규모 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여수박람회 사후활용 성공을 위해 시민운동을 전개해온 21개 단체 300여명의 지역사회단체들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입구에서 대규모 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21개 시민사회단체로 결성된 ‘여수박람회선투자금회수 압박저지궐기  시민추진위원회’는 집회를 통해, 박람회장조성을 위해 국가가 선투자한 3천6백억은 여수박람회 사후활용에 재 투자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시상환을 압박해 지역을 멸시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 21개 시민단체가 대규모 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 21개 시민단체가 대규모 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여수세계박람회가 해양선진강국 대한민국, 국토균형 발전의 시대적 견인차, 기후위기의 해법 제시를 위해 대한민국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 유치하고 개최한 국가행사였다며, 이를 실현할 사후활용이 반드시 성공되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 시민궐기대회 현장
▲ 시민궐기대회 현장

2012년 성공적 개최를 했지만 사후활용 대신 매각을 택했던 정부는 지난 2022년 ‘여수박람회사후활용특별법’을 개정해 여수광양항만공사에 운영책임을 맡겨 사후활용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현재 ‘사후활용마스터플랜’ 용역을 시작하였고, 1년여 후면 본격적인 사업을 펼쳐간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기재부가 부채로 전환된 국가선투자금 3천6백억을 내년 일시에 상환하라고 요구하면서 여수지역이 발칵 뒤집혔다. 10여 년간 표류했던 사후활용이 이제 본궤도를 찾아가는데 여기에 찬물을 끼얹는 기재부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여수박람회사후활용특별법’의 근간을 준수해 국가선투자금을  재출자방식으로 투자하거나, 최소한 마스터플랜 완성으로 박람회장 흑자전환이 되면 상환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여수박람회장을 대한민국 해양문명의 거점으로, 지방소멸시대 소외된 남해안 균형발전의 축으로 만드는 정부정책수립을 요구하였다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