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유해물질불법배출 범시민대책위원회가 권고안을 거부한 산단 기업체를 규탄하는 차량시위를 진행했다.
이들은 10일 오전 여수시청 앞에서 여수산단업체에게 민관 거버넌스 권고안을 즉각 수용하고 환경개선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시위 참여 차량에는 스티커와 깃발이 배부됐다.
대책위는 산단 기업들이 유해물질 측정값을 조작한 사실이 밝혀진 지 2년이 지났지만 기업의 인식과 태도는 변함이 없다고 질타했다.
지난 2019년 여수산단 기업이 1급 발암물질인 염화비닐과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황산화물·질소산화물 등의 배출측정값을 조작한 사실이 밝혀지며 기업들은 전국적인 공분을 샀다. 결국 10월 열린 국회 국정감사에서 실무 총괄인사가 증인으로 채택되어 배출량 조작 책임규명을 집중 질의받았다.
그러나 산단 기업은 국정감사 기간 여수상의와 골프라운딩을 즐긴 사실이 밝혀져 도덕불감증이 도마에 오르고 개선대책을 점검하러 방문한 전남도의원들의 출입을 거부하고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않는 등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여수산단기업은 민간, 관계기관, 전문가, 시도의원으로 구성된 ‘여수산단 환경관리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위원회’가 회의 내용을 토대로 여수산단 주변 환경오염 실태조사와 유해물질 측정망 설치, 위반업체 환경개선대책 마련 등의 내용이 담긴 권고안을 도출했지만 이를 거부했다.
결국 참다 못한 지역 시민단체가 10일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사건 발생 2년이 지나도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전남도와 여수시의 무능을 규탄하며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엄중 경고했다.
정한수 목사는 “시민들을 거리로 나서게 만든 환경부와 여수시 전남도를 강하게 질타할 수밖에 없다”며 “여수시와 전남도, 환경부는 여수산단 관련 기업에 책임을 제대로 묻지 않은 책임을 이제라도 이수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위반 기업들은 즉시 권고안을 받아들이고 시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태를 마무리 할 것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결의대회가 끝나고 곧바로 차량시위가 이어졌다. 스티커와 깃발을 장착한 차량은 시청에서 웅천, 신월동을 지나 서교동, 둔덕동을 거쳐 다시 시청 앞으로 돌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