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혁명시대를 맞아 여수산단 스마트제조인력 인재 양성에 나선다.
8일 전남도는 여수시,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여수산학융합원 등과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해 여수스마트그린산단의 중소기업에 스마트제조혁신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제때 공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여수산단의 스마트 ICT 기반 기업 전환을 촉진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로 여수스마트그린산단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은 전남도, 여수시,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지역본부가 사업을 지원하고, 전남여수산학융합원,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한영대학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사업을 수행한다.
재직자와 구직자를 포함한 총 1,500여 명의 스마트제조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사업비는 2022년까지 2년간 국비 80억, 지방비 8억, 민간부담금 11억 등 총 99억원이 소요된다.
사업을 총괄 주관하는 전남여수산학융합원은 석유화학공정 플랜트 데모장비 및 스마트공정제어 실습실을 구축해 재직자 직무교육과 구직자 채용 우대형 과정 및 전문교육과정을 개설한다.
또한 전남여수산학융합원은 한영대학교와 석유화학공정 플랜트 데모장비와 스마트공정제어 실습실을 구축해 재직자를 대상으로 플랜트 운전․감시․진단․제어 분야의 직무교육을 한다. 구직자에게는 스마트제조 혁신기업 수요에 맞는 채용 우대형 과정 및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해 취업과 연계하도록 지원한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공정 시설 도입에 대한 인식 전환 교육은 물론, 업종별 전문가 그룹을 선정해 기업별 맞춤형 스마트 공정 컨설팅도 지원한다.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는 다양한 커리큘럼과 연계해 스마트 산단 맞춤형 실무 인재를 양성한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이동식 대기오염 측정차량을 이용해 산단 시설물과 플랜트 안전관리 및 환경분석 실무교육을 담당한다.
박우육 전남도 기반산업과장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ICT를 접목한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할 스마트제조 전문인력과 공정 확산이 필요하다”며 “여수스마트그린산단이 저탄소 지능형 소재부품 산업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갖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진만 전남여수 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장은 “산단 내 중소기업은 스마트제조혁신에 필요한 전문인력 수급을 통해 스마트 ICT 기반 기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청년 일자리 창출 증대 및 취업 연계를 통해 여수산단의 산업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여수시 김병완 기획경제국장은 “이번 사업이 산단 내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되어야 하고 지역 대학생 등 청년들의 취업목표 인원도 330명이 아니라, 교육수료생 전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당부하면서 “사업기간인 2년 이후에도 구축된 장비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어떻게 운영해 여수산단의 환경변화와 안전성 강화 등 산단 스마트화 및 혁신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인지 향후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