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 주민들이 대형고속카페리 여객선 투입을 반대하는 여수해수청 앞에서 해수부 장관과 여수해수청장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주민 1백여명은 2일 오전 집회를 열고 “대형고속카페리 여객선이 취항 의지를 보였음에도 이를 해결해야 할 해수청이 불가능한 조건만을 제공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을 점검하러 여수를 방문한 해수부장관 퇴진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의 업무처리 행태가 섬 주민들의 교통을 편리 위주로 불편해소를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섬 주민들의 불편한 교통의 어려움을 방치, 방관하고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현재 여수-거문 항로를 오가는 파라다이스호는 27년이 지난 노후선박으로 지난 4월 결항률이 46%를 기록했다. 이런 사정 속에 주민들의 요구가 빗발치면서 지난 2월, 2천톤급 대형 고속 카페리여객선 취항에 앞서 대체 여객선인 니나호가 취항했다. 그러나 반쪽 개통으로 오히려 섬 주민들의 발이 묶이는 결과만 초래했다.
또한 섬 주민은 “교통을 담당하는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이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최근 삼산면 섬 주민 797명은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대형고속 카페리 여객선 투입을 요청하는 제출했다. 그러나 이후 거문도를 방문한 여수해수청장은 “2천톤급 고속 카페리 여객선 취항은 어렵다”고 답변만 남긴 채 돌아갔다.
결국 참지 못한 주민들이 해수부 장관과 여수해수청장의 퇴진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었다. 섬 주민들은 진정서에서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의 업무처리 행태가 섬 주민들의 교통을 편리 위주로 불편해소를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섬 주민들의 불편한 교통의 어려움을 방치, 방관하고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민들은 “여수해양수산청장 거문도 방문 시 담당과장이 주민들에게 ‘거문도 사람들이 계속 떠들면 앞으로 거문도에 국물도 없을 것‘이라고 주민들을 협박했다“며 ”공개 사과하지 않으면 담당 과장 퇴진운동도 함께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의 주장에 따르면 2천톤급 대형 카페리 고속여객선이 투입될 경우 여객 정원 385명, 화물차량과 승용차를 포함 56대의 차량 화물을 적재하고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고, 운항시간도 1시간20분으로 현재보다 1시간 이상 단축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주민들은 “열악한 교통 환경을 해결하고자 대형카페리 고속여객선을 섬 항로에 투입하려는데, 여수해수청이 납득 안되는 이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며 “현지 사업설명회에서 선사는 해양수산청의 불가 사유는 보완될 수 있는 사항들이라고 약속했다”며 해수청의 결단이 주민 의사에 역행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삼산면 주민들에 따르면 대형카페리 고속여객선 선사는 사업설명회에서 여수해수청이 밝힌 불가 사유를 보완하겠다고 약속했다.
집회에 참여한 한 거문도 주민은 "우리 주민들도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고속여객선을 취항해달라는 것 뿐"이라며 "여수해수청은 선사와 주민, 여수시청 관계자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카페리 취항이 불가능한 이유를 설명하고 보완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항률이 49%라고 하지만 외국에는 작은 마을에도 배가 들어와 일일생활권을 구성하고 있다. 여수해수청은 주민들이 마음놓고 육지로 나갈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거문도 주민들은 "일제 36년에도 교통이 지금보다 나았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우리 거문도는 계속 낙후되기만 했다. 남의 나라 밑에 살았을 때만도 못한 게 현실이다"고 개탄했다.
한편 여수를 방문한 문성혁 해수부장관은 여수시의회의 면담 요청을 거절하고 돌아간 것으로 밝혀졌다.

배보다 비행기가 빨라서 반드시 필요하당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