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73주년을 맞는 여순항쟁은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오랜 기다림과 진통 끝에 여순항쟁의 진실을 규명해줄 ‘여순사건특별법’이 2001년 처음 추진된 지 20년 만에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이 특별법은 여순항쟁 52주년을 맞은 2000년 10월 19일 순천 동부지역사회연구소와 여수지역사회연구소, YMCA, YWCA, 화해와 평화를 위한 순천시민연대, 지역 참여연대 등 전남동부지역 20개 시민단체로 인해 처음 발의가 논의됐다.
이들은 ‘여순사건 진상규명과 지역민의 명예회복을 위한 전남 동부지역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고, 도민 4천여 명의 서명을 받아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어 2001년 4월 16대 국회에서 여수의 김충조 의원이 대표발의자로 나서서 동료의원 40명이 서명, 드디어 '여순10・19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을 처음 발의됐다.
지난 2018년에는 여순항쟁 70주년을 맞아 순천, 여수, 광양, 구례, 고흥, 보성 등 동부권 시민단체와 유족회가 여수부터 각 지역을 순회하면서 합동위령제를 지내기로 합의한 바 있다. 2018년 여수 이순신광장에서, 2019년 순천 장대공원에서, 2020년 구례 여수사건희생자위령탑 앞에서 각각 전라남도 주관으로 합동추념식을 개최하였다.
당초 지난해 개최지가 광양이었으나, 유족회 정비 등 준비가 부족하여 어쩔 수 없이 구례에서 합동추념식을 개최하였다. 따라서 올해는 당초대로 지난해 개최지였던 광양에서 합동추념식을 지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결정임에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다.
광양은 백운산을 중심으로 좌익과 우익의 대립과 보복살상이 6.25전쟁까지 이어지는 등 아직까지도 양측의 깊은 골이 남아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합동추념식을 통해 화해와 상생의 분위기를 끌어내야 할 지역이다.
아직 광양에서는 감히 여순항쟁을 입에 떠올리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치유와 화합이 필요한 곳이기에 올해는 광양시와 지역사회가 이데올로기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전남도는 물론이고, 동부권 각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특별법에 지역의 범위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경상남도 일부로 규정하여 여순의 역사가 여수 순천 등 지역 역사가 아닌 대한민국 현대사의 근간이 된 역사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기 위해 하루빨리 제대로 진실규명을 이루어 여순의 역사를 바로 세우려면 여수, 순천 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장성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에 지역사회의 화해와 상생을 추구하는 우리 여순10.19범국민연대는 올해 73주년 여순항쟁 합동추념식이 광양에서 개최될 수 있도록 제주4.3도민연대 등 전국 연대단체와 함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또한 올해 치러질 합동추념식을 두고 더 이상 전남동부지역사회가 갈등하지 않도록 여수시 등 각 지자체와 유족회도 대의적으로 협력해주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