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정근식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들이 선감학원 현장을 둘러보고 인권침해 실태를 확인했다. 위원 모두가 과거사 관련 현장을 함께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실화해위원회 위원들은 경기 안산에 위치한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신고센터를 방문해 김영배 선감학원아동피해대책협의회 회장으로부터 인권침해 피해의 실상을 들었다.
이후 정진각 안산지역사연구소 대표의 안내로,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선감역사박물관과 수용시설 옛터, 희생 아동 위령비, 희생자 묘역 등을 약 1시간 30분에 걸쳐 함께 둘러봤다.
선감학원은 일제가 태평양전쟁의 전사를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경기 안산시 선감도에 설립한 시설로, 광복 이후 아동·청소년 등을 강제로 연행, 격리 수용해 1982년 폐쇄될 때까지 경기도에서 운영했다.
피해 신청인 중 절반가량이 보호자가 있지만 수용 과정에서 보호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았고, 나머지 아동들도 본인의 동의 없이 강제 수용됐다.
선감학원에 수용된 인원은 최소 4,691명이다. 당시 원생들은 강제노역에 동원되거나, 폭력·고문 등 지속적인 인권침해를 당했고, 다수의 원생들이 구타·영양실조 혹은 탈출 과정에서 사망했다.
희생자 묘역에는 선감학원 내에서 폭력과 질병으로 사망하거나, 섬을 탈출하려다 바다에 빠져 죽은 원생들의 시신이 묻혀 있다. 그 수는 약 150구로 추정된다. 진실화해위원회 위원들은 희생자 묘역을 둘러보며 어린 원혼들을 추모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권위주의 정권 시기 요보호 아동 정책의 법리적 문제 △단속과정에서 작동한 공권력의 구조적 원인 △선감학원 운영실태를 조사해 피해의 원인과 규모를 밝힐 계획이다.
현재까지 선감학원 사건과 관련해 170여 명이 진실화해위원회에 진실규명 신청을 접수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대다수 신청인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으며, 참고인 대면조사, 선감학원 운영 자료 분석, 단속 및 수용 관련 자료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정근식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은 선감학원 현장을 둘러본 뒤 “국가가 보호 대상인 사회적 약자를 '부랑아'라는 치안·선도의 대상으로 만들어 폭력과 보호의 이중성을 지닌 반인권적 법리 안에 가둬 인권을 침해했다”라며, “위원들과 함께 현장을 둘러보고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한 만큼 최선을 다해 빠른 시일 내에 진실규명 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