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의회 여순사건 특별위원회(위원장 이미경)가 여순특별법 후속사업에 한창이다.
여순특위는 최근 시 정부에게서 ‘여순사건역사관 건립 예산 편성과 유족에게 생활지원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제도화 하는데 함께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이와 동시에 여순사건역사관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두고 이미경 특위위원장은 “지금 오동도에 있는 여순홍보관은 관광객을 위한 곳으로 애달픈 마음과 근엄한 분위기가 배제되어 여순사건 정신과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새로운 역사관 건립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현재 정기명 시장님께 건립 용역비를 요청해 긍정적 대답을 얻었다. 여수시가 올해 3차 추경예산안을 추가로 구성하지 않을 경우 바로 본예산에 포함될 것”이라 덧붙였다.
역사관은 여순사건 발발지인 신월동에 건립 예정입니다. 또한 역사관은 이후 여순평화공원이 건립되는데 알맞은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미 여순유족회 어르신들과는 역사관 건립에 관한 대화를 마쳤습니다. 여순특위 위원들이 똘똘 뭉쳐서 역사관에 힘을 보탬은 물론, 여순발발지 중 하나인 한국화약도 건립부지에 포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이미경 특위위원장 설명에 따르면 그간 한국화약은 이격거리에 맞지 않다며 해당 부지를 내어주기 꺼려했다. 그러나 여수시의회 여순특위의 활동으로 여수시가 이곳의 일정 부지를 시유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위원장은 “거창하지는 않더라도 이후 평화공원 건립의 초석이 될 역사관을 작게나마 세우려 한다”고 말했다.
신월동 사건 발발지에 건립 예정인 역사관은 그동안 여순특위가 중점적으로 추진했던 사업의 결실로 이번에 시 정부가 공감대를 형성해 이뤄졌다. 국민들과 후세들에게 여순사건에 대한 올바른 역사의식을 정립해줄 역사관 건립이 추진된다면, 여순특위는 내년 완공을 목표로 활동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역사관 건립 이어 여순사건 희생자 지원 조례 제정도
여순사건 역사관 건립 외에도 여수시의회 여순특위는 유족 지원금 지급 문제 해결에 힘쓰고 있다. 이미 고령의 나이인 여순사건 희생자와 유족에게는 하루라도 빨리 지원금이 전달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여수시의회 여순특위는 지난해 9월 이미경 위원장을 대표로 고용진 부위원장, 이선효‧문갑태‧구민호‧진명숙‧김채경 위원 등 총 7명으로 구성된 직후 지역 유족회와 간담회를 개최하며 활동을 시작했고, 시 정부와 간담회 7회를 진행해 여순사건 관련 사업에 대해 다각적이고 신속한 추진을 요청했다.
이미경 특위위원장은 “무고한 희생에 대한 예우를 다한다는 생각으로 이분들이 하루라도 빨리 생활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조례 제정에 힘쓰려 한다”라고 말했다. 여수시의회 여순특위는 이외에도 다양한 후속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는 데 앞장설 예정이다.
다가올 8월에는 여수지역사회연구소와 지역 유족회를 포함한 전문가들로부터 향후 계획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고 역사관 건립 촉구와 유족 지원 조례 발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려 합니다. 시민 여러분들께서 지역의 아픈 역사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