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상공회의소, 여수선언실천위원회 등 여수지역사회단체가 부채로 전환된 국가선투자금을 재출자방식으로 여수박람회 사후활용에 재투자해야한다고 요청하였다.
이들은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해양선진강국 대한민국, 국토균형발전의 시대적 견인차, 기후위기의 해법 제시를 위해 대한민국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 유치하고 개최한 국가행사였다”며, “이를 실현할 사후활용이 반드시 성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여수세계박람회는 2012년 3개월간 8백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할 정도로 성공적 개최를 했지만 사후활용 대신 매각을 택했던 정부는 지난 2022년 ‘여수박람회사후활용특별법’을 개정해 여수광양항만공사에 운영책임을 맡겨 사후활용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현재 ‘사후활용마스터플랜’ 용역을 시작하였고, 1년여 후면 본격적인 사업을 펼쳐간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기재부가 해수부를 통해, 내년 2025년까지 부채로 전환된 국가선투자금 3천6백억을 상환하라고 요구하면서 여수지역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당시 시민사회단체는 “10여 년간 표류했던 사후활용이 이제 본궤도를 찾아가는데 여기에 찬물을 끼얹는 기재부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이들은 ‘여수박람회사후활용특별법’의 근간을 준수해 부채로 전환된 국가선투자금 3천6백억 원은 재출자방식으로 투자하거나, 최소한 마스터플랜 완성으로 박람회장 흑자전환이 되면 상환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여수박람회장을 활용해 대한민국 해양 정책의 거점, 소외된 남해안 균형발전의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정부정책수립을 요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