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현장실습에서 가족을 잃은 이들이 여수시청 앞에 마련된 고 홍정운 군의 추모헌화소를 찾아 분향했다.
‘특성화고 현장실습 피해자 가족모임’은 홍 군의 부모와 함께 현장실습생의 안전과 노동권을 보장하지 않는 현장실습을 폐지할 것과 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와 교육부의 잘못된 정책 시행으로 만 17세의 미성년 학생이 죽었는데 제대로 된 사과도, 관련 단체의 의견 수렴도 없이 참모회의에서 대통령의 발언 한 마디로 정리하려 한다”며 “진상규명에 따른 책임자 처벌은 참여 기업을 허용한 유은혜 장관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50년 넘은 산업화 유물인 저임금 노동력 착취, 취업을 미끼로 한 죽음의 현장실습을 멈춰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직업계고 정상화방안을 시행하고 전국의 직업계고는 졸업 전인 3학년 2학기 11월까지 기업체 취업 관련한 일체의 활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학생의 수업권을 보장할 것과 노동부가 취업희망업체를 현장방문해 ‘취업적합업체’를 인증하고 노동부 직속기관인 ‘취업지원센터’를 만들어 취업생의 정착과 안전, 노동인권보장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가족모임은 사고현장인 웅천 요트정박장을 찾았다.
지난 2017년 제주도 서귀포 생수공장에서 현장실습 중 사망한 이민호 군의 아버지 이상영 씨는 “정부가 현장실습을 폐지하라는 유가족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겠다는 발표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취업을 연계한 현장실습제도를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이 씨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졸업 후 자신의 전공을 살리는 업체를 선택하여 취업하는 방식을 도입해 현장실습 사고를 막아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전교조 전남지부는 지난 18일부터 2주간 고 홍정군 군을 기리는 애도주간을 운영하고 있다. 홍 군의 아버지 홍성기 씨와 대책위는 15일 선주의 엄벌을 촉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해 철저한 구속수사를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