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엇갈린 탄소 중립... 가로수 싹둑 잘라낸 여수시

초록별생명평화연구소 최병성 소장, “건강하게 잘 사는 나무를 베어내는 것은 잘못된 행정”

  • 입력 2021.12.09 14:54
  • 수정 2021.12.09 15:07
  • 기자명 조찬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9일 오전 광림동 도로변에서 한 인부가 전기톱으로 가로수를 자르고 있다.ⓒ조찬현
▲ 9일 오전 광림동 도로변에서 한 인부가 전기톱으로 가로수를 자르고 있다.ⓒ조찬현

가로수를 싹둑 잘라내는 여수시 행정에 시민들이 아연실색이다.

9일 오전 광림동 도로변이다. 한 인부가 전기톱으로 가로수를 자르고 있다. 이를 지켜보던 한 시민은 아쉬움을 토로한다.

”이거 있으면 여름에 굉장히 시원하고 좋은데 싹둑 잘라버리네요.“

조경업체 관계자는 여수시에서 수종 변경을 위한 나무 자르기라고 했다.

"시에서 불량 목이라고 해서 다른 수종으로 변경할 거에요 이 도로에 5그루 잡혀있습니다.”

▲ 파란색으로 x표시한 이 나무는 곧 잘려나갈 예정이다. ⓒ조찬현
▲ 파란색으로 x표시한 이 나무는 곧 잘려나갈 예정이다. ⓒ조찬현
▲ 조경업체 인부가 전기톱으로 자른 가로수다. ⓒ조찬현
▲ 조경업체 인부가 전기톱으로 자른 가로수다. ⓒ조찬현
▲ 싹둑 잘려나간 가로수 그루터기다.ⓒ조찬현
▲ 싹둑 잘려나간 가로수 그루터기다.ⓒ조찬현

환경운동가 초록별생명평화연구소 최병성 소장은 “양버즘나무가 오래되면 속이 썩어가서 언제 넘어질지 모르는 위험 목이 되기도 하지만 지금 나무 상태는 전혀 위험하지 않아요.”라고 했다.

이어 그는 “기후위기 시대에 탄소 중립을 위해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탄소흡수량이 뛰어난 수종이고, 과도한 가지치기 등을 금지해야 하는데 아직 건강하게 잘 사는 나무를 베어내는 것은 잘못된 행정이라고 할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다.

▲ 전기톱으로 자른 가로수를 화물차에 싣고 있다. ⓒ조찬현
▲ 전기톱으로 자른 가로수를 화물차에 싣고 있다. ⓒ조찬현
▲여수 서시장 근처 광무동 도로변이다. ⓒ조찬현
▲여수 서시장 근처 광무동 도로변이다. ⓒ조찬현

한편, COP33 유치를 꿈꾸는 여수시는 탄소중립위원회, 17개 정부 부처, 지자체가 합동으로 진행하는 ‘탄소중립 주간’ 행사에 적극 앞장 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산업부문 토론회’가 지난 8일 오후 히든베이호텔에서 열렸다. 이어지는 ‘지역민과 함께하는 탄소 중립 도시 여수 만들기’ 시민 토론회는 10일 여수 YMCA 대강당에서 열린다.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던칸 2021-12-12 00:29:07
사진보니 잘라낸 나무 속이 공동화 되어 있어서 안전을 위해 잘라내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