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민협이 23일 논평을 내고 “여수시 시내버스 전면 개편은 여수시민 생활권 중심으로 개편해야 할 것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협은 “그동안 여수시는 5년마다 대중교통 정책 수립을 위한 5개년 중장기계획 수립용역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발표해 왔다”며 하지만 “용역 결과물은 신도심 노선 연장과 연결하는 수준에 그쳤고, 시내버스 노선 개편율은 5% 수준이었다. 결국 1억원 ~ 3억원의 용역예산만 낭비하는 일이 되풀이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번에는 여수시가 버스 노선 전면 개편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기 바란다”라며 “더 이상 시민의 눈속임으로 예산 낭비하는 졸속 개편 행정을 멈추고, 시민을 위한 책임성 있는 전면 개편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사)여수시민협 제안 사항이다.
1. 시내버스 노선 개편은 특정한 목적이나, 버스회사 등의 일방적 요구에 휘둘리지 말고,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주민의 생활권 중심으로 노선을 설계해야 한다.
2. 여수시는 이번 용역과제를 수행하면서 용역업체에만 의존하지 말고 시민이 직접 중심이 되어 공청회와 여론조사 등 숙의 과정을 거쳐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온 주민들이 용역업체와 함께 주 1회 정도의 토론회를 갖고 심층적인 논의를 거쳐야 한다. 그 과정에서 위원회 구성은 대중교통 이용 주민을 반드시 포함하며, 여론조사는 용역업체에서 버스를 타고 전 노선을 다니면서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토론한 후에 그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3. 버스정류장 위치 및 거리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필요 없는 정류장은 삭제하고 정류장 간의 거리를 400 ~ 500미터 간격으로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시민협은 끝으로 "일부 시의원과 지역유지의 사적 민원에 따라 버스정류장이 난립해 교통 정체를 빚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여수시의 교통시설에 관한 기준을 자치법규에 명시하고 엄격히 적용하기 바란다"라는 말로 논평을 마무리했다.
한편, 여수시가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26년 만에 시내버스 노선체계 전면 개편을 추진한다고 2월과 4월 초 밝혔다.
시는 지난 2월 21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25개 읍면동 700여 명의 이·통장과 시내버스 업체 운수종사자 350여 명을 대상으로 28회에 걸쳐 설명회를 가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