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11시 남해화학 사내하청 비정규직지회가 여수시청 앞에서 35명 집단해고 철회와 고용승계를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남해화학이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 35명을 또다시 집단해고 했다”며 “2년마다 진행되는 업체선정 과정에서 집단해고를 반복하는 남해화학의 실상을 고발한다”고 전했다.
기자회견문에 따르면 남해화학은 최저입찰제를 통해 2017년 집단강제휴직을, 2019년에는 60여명을 집단해고했다.
비정규직지회는 “여수국가산단에서 최저가입찰제를 운영하고 고용승계를 보장하지 않는 대기업은 남해화학이 유일하다”며 “2년마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해고하고 탄압하는 것은 민주노조를 파괴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말 그대로 노예화하기 위한 것” 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들은 “남해화학은 하청업체 입찰시 비정규직노동자들 고용을 보장하는 고용승계조항을 삭제하고 해고할 수 밖에 없는 빌미를 제공하고 35명을 집단해고한 사실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한국노총 조합원만 선별적으로 고용승계를 약속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들에 따르면 남해화학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최저시급 8,720원이라는 정규직 대비 35~40%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으며 부족한 생계비는 초과근무로 충당하고 있다. 비정규직지회는 “최저가입찰을 고집하는 이유는 하청업체가 회사 운영의 빌미로 노동자들을 깎거나 해고하게 하고 더 나아가 운영이 가능함을 보이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남해화학은 최저가입찰제에도 하청업체가 운영되면 더 낮은 도급금액으로 하청 비정규직을 쥐어짜 초과이윤을 더 창출하려는 속셈”이라고 전했다.
노동자들은 “남해화학의 주인인 농협은 2년마다 벌어지는 집단해고 과정을 알면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방치했다”며 “35명 집단해고의 근본책임은 농협과 남해화학에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농협에 2년마다 반복되는 집단해고 사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남해화학의 민주노조 파괴 행위와 최저입찰제를 통한 업체 선정을 중단하게 하는 조치를 하루빨리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동자들은 “4년 전에도, 2년 전에도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죽을 각오로 버티며 싸워 왔다”며 “농협과 남해화학이 35명 집단계획을 철회하고 고용을 승계하고 생존권이 보장되도록 사즉생 각오로 투쟁하겠다”고 전했다.
남해화학비정규직지회 고용승계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마치고 오후 5시께 민주노총여수시지부 소속 롯데첨단소재 노동조합, 대림화학 노동조합, LG화학사내하청지회, 남해화학사내하청 지회의 방송차량 5대와 이들을 지원하고자 나선 민주노총조합원들의 차량들이 여서동 로터리를 출발해 석창4거리까지 차량시위에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