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진남관을 감싼 거대한 덧집,"그 안이 궁금하다"

전면적인 해체 마치고, 각 부재 선별작업도 끝내
재사용할 것인지,새로 교체할 것인지 선별도 마쳐
현재, 진남관은 ‘초석해체이동설치’작업이 진행 중
육송 산지인 정선과 울진에서 교체될 목재 다듬는 중
1710년대에 1년 반 만에 중건한 것은 다소 무리한 공정
70개 초석 중에 18개만 재사용 및 전용하고 나머지는 교체
현재 공정률 59%, 2022년 5월에 진남관 보수공사 완결

  • 입력 2020.11.23 15:05
  • 수정 2020.11.29 10:50
  • 기자명 오병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의 진남관. 진남관은 1599년(선조32)에 건립했는데 1716년(숙종42)에 화재로 소실돼, 1718년(숙종44) 에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2001년 국보 304호 승격되었다. 앞 15칸 옆 5칸 75칸 짜리 건평 240평 규모로 국내 목조단층건물로는 최대 규모다. 지방 관아건물로도 크기가 국내 으뜸이다.

진남관. 국보 제 304호.여수의 상징건물이다. 진남관은 지금 덧집 속에 있다. 국내최대 단층목조건물 ‘진남관’이 대대적인 해체보수 작업중에 있다.

가설 덧집 기초공사를 시작한 때는 2017년 7월. 8개월에 걸쳐 가설 덧집 공사를 완료했다.

2017년 7월 가설 덧집 공사를 시작해 8개월에 걸쳐 덧집을 완공하고 그 안에서 진남관 해체 작업을 그간 진행해 왔다. 거대한 덧집에 둘러쌓여 갇혀있는 진남관

진남관의 본격적인 해체는 덧집을 완료한 2018년 3월부터다. 해체하는 데는 꼬박 1년 걸렸다. 기와 5만개, 목재 부재가 6천여점으로 해체되었다. 우리전통 목재건물은 못질을 하지 않고 조립을 한다. 레고처럼 분해하여 해체한 목재들이 6천개 넘는다.

덧집은 진남관 둘레를 두르는 큰 집을 한 채 짓고, 동편 관리사무소 앞 공터에 작은 덧집을 한 채 더 지어 연결시켰다.  4층 철골구조 덧집은 연건평 2천414평이다.

진남관 경내에서 본 덧집 모습. 왼편의 큰 덧집은 오롯이 진남관 건물을 감싸고 있고 오른편은 별도의 공간에 지은 덧집인데 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4층으로 구분된 공간에는 수천 점의 해체한 진남관 부재들이 진열돼 있다.

진남관의 건평이 240평이어서 덧집은 진남관 건평 열배가 넘는다. 덧집의 2층에는 현장 사무소와 감리단 사무소도 자리하고 있다. 두 군데 덧집에는 번호가 매겨진채  덧집 각 층별 높이에 해당하는 진남관에서 해체된 부재들이 덧집의 각 층별로 진열돼 있다.

해체한 후에는 초석이나 기둥같은 부재 선별작업을 했다. 지난해 3월부터 6개월간 선별조사를 마쳤다. 선별 작업은 재사용 할 것인지, 다 폐기하기는 아까우니 전용(변형해 다른 용도로 재사용)할 것인지, 그대로 재사용 할 것인지를 정하는 작업이다. 그 작업에 또 반년이 걸렸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이 힘들다고 한다. 서까래같은 부재를 교체하는 게 경제성 면에서나 내구성 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지만, 효과성만을 중시할 수가 없다. 보존문화재로서 원래 모습의 유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검증과 고민의 과정을 거쳐 효과성과 보존성을 감안해 재활용과 교체의 균형을 맞추면서 선별을 한다.

2017년 7월의 가설 덧집 초기 공사 모습.

진남관이 덧집에 가려진 지 어언 3년이 지난 지금 덧집 안에서는 무슨 작업이 펼쳐지고 있는 것일까?

현장 감리사인 삼진건축사사무소 소속의 양윤식 문화재수리기술자(공학박사)는 선별조사를 마치고 기단과 기초공사가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지금 작업은 진남관이 전체 해체를 마친 후 초석이 드러난 상태인데요, 이 초석에 대한 선별평가를 이미 마쳤습니다. 그대로 둘것인지 여부도 다 파악한 상태이거든요.

선별평가 결과에 따라서 그대로 사용할 초석은 다시 기초를 다지고, 해체해서 이동할 것은 이동시켜 재활용합니다. 또 전혀 사용 못할 것들은 폐기하고 다른 초석으로 대체하는 작업들이 진행중입니다.”

2020년 11월 12일 작업 광경. 덧집 안에서는 현재 기단과 기초공사가 진행중이다.

초석은 기둥을 받쳐주는 받침돌이다. 진남관은 지금 터만 그대로 드러내고 초석 위치를 잡고 있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초석은 18개를 재사용하고, 나머지는 교체하는 것으로 판정돼 현재 진남관 덧집 안에서는 ‘초석해체이동설치’작업이 진행중이다.
 
보수공사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초석 18개만 다시 사용하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고 한다.

시공사인 문화재수리업체 (주)진수종합건설 진남관 현장 소장인 보수기술자 천성열씨 얘기다.

문화재수리업체에서 파견나온 진남관 보수정비 사업 현장 책임자인 보수기술자 천성열씨. 덧집 안의 2층 사무실에서 인터뷰했다.

“문헌에 보면 통제사 이시언 장군이 건립한 진남관이 1716년에 불이 납니다. 숙종조인데 불난 2년 후에 중건한 것으로 돼 있습니다. 거의 전소된 건물을 햇수로 2년이지만 실제 약 1년 반 만에 중건한 것인데요, 당시 기술로 비춰봤을 때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굉장히 빨리 지어진 건물이다고 판단되어지거든요.

고급 건축으로서 정교함 등에서 좀 부족한 점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추측이 되는 부분이죠. 그런 점 때문에 선별작업 결과 초석들이 그대로 재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여지고요. 그래서 진남관 18개 초석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전용해서 사용하고, 나머지 52개 초석은 교체될 겁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는 진남관 기둥은 68개다, 그런데 인터뷰 내용으로 보면 초석이 70개다. 그렇다면 기둥도 70개로 늘어난 것일까? (다음 편에서 그 내용이 밝혀진다)

초석 기초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 진남관 구조적 뒤틀림 현상의 원인 중에 하나가 오래된 초석의 변형에서 기인한다.

시행청인 여수시의 문화예술과 김지선 과장도 초석을 비롯한 문제점 때문에 건물의 영구적 보존을 위해서 해체보수 작업을 진행한 것이라고 전했다.

“초석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해서 기울기가 틀어지고 건물의 뒤틀림 현상 같은 구조적 결함을 가져왔습니다. 그간 초석 불량상태도 건물 뒤틀림 원인 중에 하나라고 보여집니다. 그런 연유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2014년도에 전면 해체보수결정을 한 것이고요.

초석부터 튼튼히 다져야 구조적 결함으로 파악된 내용들이 바로 잡힐겁니다. 제대로 보수가 되면 앞으로 100년 200년 견딜 국보로서 진남관의 위용을 선보이게 될 것입니다”

현재 진행중인 ‘초석해체이동설치’작업은 한달 정도 걸린다. 이후 기둥이 세워지고 차근차근 목부재 조립공정에 들어간다. 새로 교체할 기둥이나 서까래 같은 부재는 육송 산지인 경북 울진과 강원도 정선에서 지금 준비 중이다.
 
진남관 해체복원 전체 공사 공정율은 현재까지 59%다. 2022년 5월에는 덧집이 벗겨지고 보수를 마친 진남관의 새 모습이 드러나게 된다.
 

편집자 소개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2004년부터 시행한 기울기 등 변위측정 조사결과 진남관은 심한 건물 뒤틀림과 구조적 불안정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국보급 문화재의 훼손이 염려돼 2013년에는 전면 해체보수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을 근거로 2014년 문화재청은 보수작업을 위한 설계승인을 하고 2015년에 공사 착공에 들어가, 2017년 가설 덧집 기초공사를 시작해 8개월에 걸쳐 가설 덧집 공사를 완료했다.
진남관의 본격적인 해체는 덧집을 완료한 2018년 3월부터다. 해체하는 데는 꼬박 1년 걸렸다. 기초 초석 공사부터 차근차근 복원작업에 들어간다. 문화재 복원 과정에 대한 정보를 독자들과 공유하는 것은 우리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라고 본다. 여수넷통뉴스는 앞으로 순차적인 복원 과정을 취재해서 연속 보도할 참이다.

 

2017년 10월의 가설덧집 공사중 모습
2018년 2월 가설덧집 완료.
2018년 3월 진남관 해체 착수하여 기와부터 해체
2018년 3월 기와 해체 작업
2018년 5월 지붕 해체 작업
2018년 11월 보 해체
2018년 12월 기둥 해체
2019년 1월 기둥 해체
2019년 12월 해체 완료한 모습. 그 이후 설계변경 과정과 해체한 부재들을 선별하는 과정을 거쳤다

 

2020년 11월 현재 진행중인 ‘초석해체이동설치’작업. 이 공정은 한달 가량 소요된다.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