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빨갱이' 어원이 바로 여순항쟁 과정에

주철희 박사 현대사 강좌 2강, 항쟁과 반란의 시각

  • 입력 2017.09.08 14:29
  • 수정 2017.09.23 05:56
  • 기자명 곽준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란인가? 항쟁인가?  주철희 박사
70년 묵은 수수께끼 실마리 풀다.
그들은 저항군 이었다.
7일, 현대사 바로알기 두번째 강좌에서

주철희 박사의 현대사 바로알기 2강

2017년 대한민국의 현재를 놓고 해방 전, 후사를 살펴 볼 때 늘 사람들의 뇌리 속에 박혀 있는 단어 ‘빨갱이’ 그 어원 속에 '1948년 여, 순 항쟁'이 있었다.

지구상 가장 강력한 반공국가, 대한민국이란 나라에서 "빨갱이"는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어떤 경우에는 대한민국에 사는 우리들은 빨갱이라는 이 말 한마디가 사람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되고 있다. 그리고 자신과 생각이 다르다고 잡아다 다른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감옥에 쳐 넣고, 고문하고, 조롱하고 비하하고 놀리고 온갖 비인간적인 작태를 행하고 있지만, 정작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이 말이 생겨났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가?

전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여순연구센터장을 엮임 한 역사학자 주철희 박사를 강사로 한 여수 해안통갤러리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에 열리고 있는 현대사 바로 알기 두 번째 강좌에서 주 박사는 첫 말문을 이렇게 열었다.

주철희 박사는 이날 이승만 반공정권의 탄생은 1948 제주 4.3, 10월 여.순을 시작으로 빨갱이=민족독립운동가들을 본격적으로 학살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 4.3, 10.19여. 순을 놓고 이승만 정권은 정부 군대의 진압 과정에서 빨갱이란 말 한마디에 억울하게 죽은 무고한 일반 민간인들이 훨씬 더 많았음에도, 이 같은 사건의 실상은 제대로 알리지 않은 채 오히려 사실과는 정반대로 언론에 보도됐다. 며 당시 언론인들을 성토 했다.

당시 정부는 피해자들 대부분이 좌익 빨갱이들에 의해 죽었으며, 좌익 빨갱이들을 ‘살인마’라고 선전했다.

이와 함께 당시 신문들은 정부의 보도 자료를 아무런 비판 없이 충실히 지면에 옮겼다. 말 그대로 부하뇌동 한 것.

‘빨갱이’라는 단어는 정권·언론·문인·종교계의 지식이 총망라돼 형성된 담론의 응결체였다. 는 게 주 박사의 말이다.

그렇다면 제주도민을 학살 하라는 명령을 거부 한 당시 여수 14연대 일부 군인들은 반란군 이었을 까?

또 여수, 순천 지역민들은 반란군들과 연합한 부역자들이었을까 ?
아니다. 주 박사는 이날 반란과 항쟁에 대한 정의를 이렇게 내렸다.

반란(叛亂)은 정부나 지도자 따위에 반대하여 내란을 일으킨 것 이라고 할 때 여수 14 연대 당시 군인들은 전혀 그런 의도가 없었다. 고 주장했다.

그 예로 반란이 성립 되려면 첫 째 현 권력자를 축출하거나 제거해야 했다. 둘 째 나라의 서울 즉 수도를 점령해야 했다. 셋 째 새로운 권력자를 미리 결정해야 했다. 넷 째 주체 세력은 정부요직에 있거나 군사 고위 지휘자야 했다. 다섯 째 반란을 일으키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계획 구체성 과 철저한 준비가 필요 하다 . 하지만 14연대는 그 어떤 한 가지도 갖추지 않았다는 게 주 박사의 설명이다.

다만 그들은 같은 한민족, 한 형제, 인 동포들을 학살 하라는 명령을 거부 한 것 일뿐 이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이 같은 뜻을 정확히 밝히는 소위 정소(呈訴) 운동을 펼친다.

하지만 이들의 뜻이 이뤄지지 않아 다시금 등소(等訴) 운동을 펼치면서 제주도 출병에 대한 거부감, 두려움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주 박사의 설명이다.

결국 그들은 제주도 출병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봉기라는 저항(抵抗)으로 표출 하면서 잘 못된 국가의 폭력적 만행과 살인 명령에 항명하고 민족의 형제들을 지키려 했던 몸부림의 저항 이었지 체제와 국가를 전복 하려는 반란군이 아니다. 는 것을 주철희 박사는 재차 강조 했다.

한편 본지는 앞으로 세 강좌 가 남은 주철희 박사의 현대사 강의를 정리해 연제 할 참이다.

주철의 박사의 현대사 강의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여수해안통갤러리(관장 이혜란)에서 열린다.

저작권자 © 여수넷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