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민협은 7월 11일 '여수mbc 순천 이전 추진에 대한 여수시민협 성명서'를 내고 "여수MBC 이전 추진은 여수시민에 대한 배신이다"며 여수시가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민협은 “2004년 여수KBS 방송국 이전으로 이미 큰 상처를 겪은 바 있는 여수시민들에게 이번 여수MBC 방송국 이전 움직임은 다시 떠오른 악몽이자 참담한 현실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여수시의회는 KBS 이전을 반대하며 의원직 사퇴까지 내걸었지만 결국 방송국은 이전되었고 시민과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며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던 그 기억이 여전히 여수시민의 마음에 남아 있다. 이번에도 시의회가 규탄 입장을 발표했지만 그 결기가 과연 현실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시민들은 깊은 회의감을 느낀다”고 전하였다.
또한, “더 큰 문제는 여수시의 침묵이다. 방송국 이전이라는 중대한 사안이 시와 아무런 협의 없이 추진됐을 것이라고는 누구도 믿지 않는다. MBC 측이 여러 차례 여수시와 접촉했음에도 시는 그간 이 사안을 시민들과 공유하지 않았고 논의의 장조차 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심지어 항간에는 순천시가 적극 나서서 유리한 조건을 제시했고 유치를 사실상 성사시켰다는 풍문까지 떠돈다. 만약 이 말이 사실이라면 이는 인근 지자체 간에 벌어진 막장 행정전쟁이 아닐 수 없다”고 토로했다.
시민협은 “이 상황에서 여수시민들이 느끼는 좌절과 분노는 실로 깊다. 과연 우리는 여수시의 무능한 행정을 또다시 지켜봐야만 하는가? 여수시는 지금이라도 즉각 입장을 정리해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 행정의 책무는 조용한 협상이 아니라 시민과 함께 대응하고 설득하고 지켜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여수MBC에도 묻는다”고 했다. 이어 “시민들은 지난 수십 년간 MBC가 공영방송으로서의 책무를 다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왔다. 특히 계엄 이후 혼란한 정국에서 여수MBC는 시민들에게 중요한 목소리와 정보를 전달해 왔다. 그런 공영방송이 지금, 지역 시민들과의 신뢰를 뒤로 한 채 사익에 치우친 결정 과정을 조용히 진행해 왔다면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고 말했다.
과거 “여수KBS의 이전이 중앙 주도의 통폐합 정책의 일환이었다면 이번 여수MBC 이전은 전적으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결정으로 판단된다. 그렇다면 이는 사업 확장과 이익 추구를 위한 자본의 논리에 따른 움직임일 뿐이다”고 주장했다. 또한 “여수MBC는 공영방송의 정체성을 되새기고, 시민과 지역사회와의 신뢰를 다시 돌아보며, 이전 여부에 대한 공론화의 장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시민협은 “여수시와 여수MBC는 더이상 시민들을 외면하지 마라. 침묵은 방관이고, 방관은 책임회피일 뿐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여수시민은 지역방송이 진정한 지역성과 공공성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